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새만금 제조 후 수출 모델(FTA 활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새만금 지역에서 제품 제조 후 타 국가로 제품을 수출하는 모델. 현재 미국과 중국간에는 자유무역협정(FTA)이 없고, 무역분쟁으로 인한 미·중 상호 보복관세는 상당히 큰 리스크이며, 양쪽과 FTA가 있는 한국에 거점을 마련할 경우 이러한 관세가 면제됨에 따라 성공적인 비즈니스 수행이 가능합니다.

FTA를 활용한 새만금지역에서 중국, 미국, 글로벌회사와의 수출 모델 개념도
  • 관세 감면 통해 수출 원가 절감 및 가격경쟁력 제고
  • 동북아 물류의 분배 허브인 한국의 물류 인프라 활용

역수출 모델

제조, 가공, 보관, 시험인증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활용해 “Made in Korea”로 신뢰성을 증대하여 자국 또는 타 국가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모델.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신뢰도, 소비자 만족도 지수가 높기 때문에 이들 국가에 Made in Korea 재화를 역수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성공적일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새만금 지역에서 원재료를 수입해 수출하는 역수출 모델 개념도
  • 제품 신뢰도 및 소비자 만족도 상승
  • 국내 다양한 물류 인프라 활용 가능
  • 글로벌 Test Bed로 인정받는 한국 활용

상호 간 인증 모델

국가 상호 간 인증을 공유하는 기관을 설립해 수출입 시 인증절차를 완화하는 모델. 향후 많은 해외 인증 기관과 연계 및 협력하는 경우, 국내 기업이 수출할 수 있는 판로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현지에서 시험/인증 받을 때의 높은 비용을 고려한다면, 해외와 연계된 국내 시험/인증 기관의 중요성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됨

한국(새만금) → 중국 수출 : 상호 간 인증기관의 승인 후 수출 가능(KS인증마크)
한국 → 중국 수출
시험/인증 및 기술지원 받는 기업들의 경우, 인증 기관이 인접해 있어야 검증/인증, 지원 및 R&D 과제 발굴이 효율적으로 연계됨
중국 → 한국(새만금) 수출 : Illustrative(KS인증마크)
중국 → 한국 수출
일부 국가 중, 시험/인증 시스템이나 인프라가 없는 국가가 상당 수 존재하기 때문에 새만금 내 상호인증기관 활용이 가능함
  • 새만금 제조 제품에 대한 품질 향상 및 신뢰성 제공
  • 신사업 아이템 발굴, 중장기적 사업확장에 유리

글로벌 시장 공략 위한 투자 모델

재생에너지 등 새만금에 특화된 사업에 투자하고, 관련 노하우 축적한 뒤 글로벌 시장을 공략 하는 모델. 새만금은 세계 최대 규모인 2.1GW 수상 태양광발전단지를 보유하고 있고, 국내 입지 또한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해당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그 노하우를 축적할 경우, 치열한 세계 수상태양광발전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새만금 지역에서 중국 텐진 지역의 베이징-텐진 경제권, 중국 상하이 지역의 장강삼각주, 광저우 지역의 주강삼각주에 투자 모델을 적용한 글로벌 시장 공략 개념도
  • 사업 노하우 축적 및 해외 진출
  • 국가 차원의 높은 관심도 및 적극적인 지원

도시개발 모델

토지를 매립 또는 매입하여 관광단지를 개발하고 토지를 분양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 새만금 인구계획과 제반 사업환경은 다양한 도시개발 비즈모델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합니다.

새만금 인구 계획
  • 총 유발 인구
    706,609명
    • 1권역
      50,800명
    • 2권역
      108,700명
    • 3권역
      53,600명
    • 4권역
      40,000명
    • 농생명권역
      16,400명
    • 주변지역및도시
      437,109명
인구배분계획 (단위 : 명)
주변지역 및 도시 : 469,200(62%), 복합도시용지 : 109,000(14%), 배후도시용지 : 104,000(14%), 지역내기타용지 : 76,500(10%)
제반 사업 환경
공공주도로 신속한 추진
  • 국제협력용지 일부 부지(6.6㎢)를 첨단 물관리 기술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수변도시로 본격 개발 추진 중(전담기관 : 새만금개발공사)
  • '24년 준공 목표
높은 접근성
  • 새만금 내부를 십(十)자형으로 연결하는 동서(’20년)·남북(’23년) 도로 구축
  •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23년 완공
  • 새만금 신공항, 새만금 신항만 건설 추진
직주 연계 가능 경제권
  • 현재도 새만금 경제권역 내 약 16,000개의 공장이 있으며, 산업용지 등에 지속적으로 기업 입주 중
  • 글로벌 최대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단지 운영으로 경제인구 유입 가능성 증대
  • 1도시개발MD
    • 수변도시 등 도시 전체를 개발하는 Master Developer로써 각 시설 별 용지를 조성하고 분양하여 수익 창출
  • 2핵심시설 건설운영
    • 상업시설, 커뮤니티 등 도시 핵심시설을 건설하고 임대 또는 직접 운영하여 수익 창출
    • 도시 랜드마크 시설 건설 및 운영을 통한 기업 브랜드 가치 제고
  • 3정주 인구 대상 서비스 제공
    • 학교, 병원 등 정주인구 대상 차별화 된 서비스 제공을 통한 수익 창출
    •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 중개서비스, 정주지원 서비스 등의 제공을 통한 수익 창출
  • 개활지 상태의 광활한 새만금 지역을 활용하여 사업자의 다양한 사업계획 반영 가능
공유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