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업개요

새만금 복합개발용지 내에 2028년까지 약 2조 원을 투입하여 면적 약 6.25㎢(약 189만평), 인구 2.1만명 규모의 자족기능을 갖는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를 조성하고자 합니다.

2조 원, 면적 약 6.25㎢(약 189만평), 인구 2.1만명 규모의 자족기능을 갖춘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 개념도 2조 원, 면적 약 6.25㎢(약 189만평), 인구 2.1만명 규모의 자족기능을 갖춘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 개념도
약 2조원, 면적 약 6.25㎢(약 189만평), 인구 2.1만명 규모 - 자족기능을 갖춘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가능

<수변도시 전경>



<수변도시 토지이용계획>

개발방향

  • 1
    기업지원 배후도시

    - 기원지원 용지확대
    - 관광산업유치
    - 토지규제 완화
    - 기업종사자 지원 생활인프라 도입
    - 토지공급 우대

    * 도로에 침투형 우수받이 도입 등 빗물이 땅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설계
  • 2
    살기편한 명품도시

    - 주거유형 다양화
    - 교육환경 적기조성
    - 복합문화시설 설치
    - 출퇴근, 인접도시 교통기반 마련
    - 도시방재 강화

    *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이 주택, 교통, 에너지 등 도시전반에 집약
  • 3
    유니크한 매력도시

    - 경관차별화
    - 탄소중립 시범마을 조성
    - 물길 특화
    - 육해공 첨단 모빌리티
    - 로봇·친환경차 수용성 강화

기대효과

  • 1
    문화관광의 기능

    신항만 및 공항과 연계한 국제업무, 복합리조트, MICE, 레져형 테마파크 등이 상호 연계한 문화ㆍ관광 기능을 수행합니다.

  • 2
    공공클러스터의 기능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 수립에 따른 공공기관 유치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 3
    첨단산업의 기능

    재생에너지 관련사업, 국내외 지식기반 첨단R&D 및 4차 산업과 관련된 업종 유치를 통한 자족형 도시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 4
    중심상업의 기능

    수변공간 특화, 스마트 가로를 중심으로 한 상업기능을 수행 합니다.

  • 5
    중, 저밀도 주거용지의 기능

    새만금 사업지역, 이전 공공 기관, 첨단산업 종사자 등의 유발 인구 수용을 위한 중‧ 저밀도 주거용지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추진경과

환경생태용지, 공공클러스터지구, 생태주거지구(주거·교육), 주거지구, MICE지구(업무, 쇼핑, 관광), 창의문화지구(상업·문화·관광), 스마트밸리지구(산업, 의료), 레저지구, 환경생티용지
  • 2019. 08 스마트수변도시 사업시행자 지정(公社)
  • 2020. 12 수변도시 매립공사 착공
  • 2023. 06 수변도시 매립공사 준공
  • 2023. 11 수변도시 1공구 조성공사 착공
  • 2028. 완공(예정)
  • 개발사업국 국제도시과

    담당 주무관

    063-733-1165

공유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