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사업 개요

-
위치
전북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일원
-
규모
면적: 409㎢ (용지 291㎢, 호소 118㎢) 세계 최장 방조제: 33.9km
-
사업비
22.79조원
(국비 12.14, 지방비 0.95, 민자 9.7) -
예상인구
개발 완료 시 총 유발인구 70.6만명, 새만금 사업지역 내 26.9만명 수용 계획
새만금 규모
면적 409㎢의 세적 규모의 간척사업인 새만금은 광활한 면적을 통해 독립된 경제권역으로서의 잠재력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세계 주요도시들과 새만금 *새만금 면적대비 비교
-
런던 1/3 -
싱가폴 1/2 -
서울 2/3 -
바르셀로나 3배 -
파리 4배 -
맨허튼 5배 -
마카오 1.4배

해외 주요 테마도시들과 새만금 *새만금 면적대비 비교

-
두바이 팜
아일랜드 -
월트디즈니
월드 -
홍콩공항 -
버진랠러틱
우주 관광항
새만금 경제권역
서해안 산업 관광밸트 중심이자 자족형 경제권역의 핵심인 새만금입니다.
국내·외 교통 인프라 우수성

-
국내 대도시들과의 높은 접근성
- 익산역 KTX/SRT를 통해 1시간 내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등 대도시들과 접근성 용이
- 수도권, 중부권, 호남권을 연계하는 호남·서해안 고속도로
- 영호남을 관통하는 새만금·포항 고속도로
-
국제 공항·항만과의 접근성
- 인천국제공항까지 3시간 소요
- 부산항까지 3시간 소요
-
인천국제공항 글로벌 3위
(SKYTRAX) -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글로벌 5위
* 새만금경제권역(The Economic Rim of Saemangeum) : 군산, 부안, 익산, 김제 등 포함
자족성을 보유한 경제권역 형성
-
「새만금 경제권역」 은 행정구역 구분과 달리 새만금을 중심으로 1.5시간 차량거리 범위 내에서 경제주체 간 수요/공급의 강한 경제적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개념적 지리경제 권역을 말합니다.
- 권역내 15,920개의 공장 (전국 공장의 약 8.3%)
- 전국 GRDP의 약 8.8%를 차지
- 전국 인구의 9.43%인 589만 명이 거주
- 1 17%가 대학교육 이상의 고급인력
- 2 83%는 직업교육 이수
* KOSTAT & CBCM Analysis, 2016, 통계청, 2018 기준
-
137.7 (Unit: US$ B.) -
543 (Unit: 만 명)
Special Governance Zone
동북아 경제 중심지 조성을 위해 중앙행정기관이 전담하는 유일한 국가 사업이자 지역에 특화된 육성 정책 및 파격적 규제완화를 근간으로 한 핵심 분야 별 특구 조성 준비중입니다.
-
새만금 신교통특구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위그선 등 모빌리티 관련 4차 산업혁명의 기술 테스트, 상용화 가능한 특구 조성 준비 중
-
국가차원의 선도적 투자 및 지원
새만금 특별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인 새만금개발청이 추진하는 사업
-
국내 유일 한중산업협력단지 지정
한중 FTA 체결 이후 양국 상호투자촉진, 검역과 통관 분야 협력 강화, 산업협력 활성화 추진
-
군산 강소연구개발특구
6개 지역 연구·지원기관이 참여해 강소특구(자동차, 신재생에너지)를 조성 추진 중
-
군산형 일자리 모델
전기차 클러스터 조성하여 17만7천 대 생산 예정
-
국내 타 특구 대비 유연한 규제
임대기간(최대 100년), 비자(C-3) 발급 절차 간소화, 다양한 세제혜택 등 새만금만의 차별화된 인센티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