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수변 도시계획
친환경 수변도시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되는 자연친화적 수변도시

1. 자연과 공생하는 환경 친화적 도시 조성
- 새만금에 거주하는 시민이 자연과 접촉하고 생물종을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생태공간과 비오톱(Bio-Tope) 조성
- 생태수로 등을 조성하여 생물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일상생활에서 자연과 공생할 수 있는 풍부한 생태환경을 제공
- 야생동물 등을 위한 생태통로를 적극 도입하여, 단절된 생태녹지축을 복원하고 양호한 생물서식 공간을 연결하도록 유도


2. 쾌적하고 매력적인 자연친화적 수변환경 조성
- 수로와 친수공간이 결합된 환경친화적 수변공간을 새만금 곳곳에 조성하여 새만금 전체의 쾌적성을 제고
- 새만금을 물과 자연이 어우러진 녹색의 명품 수변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산업·연구권역, 국제협력권역, 관광·레저권역 내로 수공간과 녹지공간이 조화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계획

저탄소 녹색도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저탄소 녹색도시의 건설

1. 탄소 발생 없는 에너지 절감형 도시
- 공원, 녹지, 농지, 친수공간 등 탄소 흡수공간을 적극적으로 조성
-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기법 적용으로 대중교통중심 체계를 도입
- 전기자동차, 녹색대중교통체계 등 신교통수단 도입
- 녹색건축기법의 도입 및 새로운 녹색기술・공법에 개방된 도시건설 추진
-
새만금주변 광역생태축 -
신교통수단노선 예시 -
바이모달 트램(Bimodal Tram) -
패시브하우스 개념도(녹색건축물) -
주택에너지 녹색 관리시스템
2. 자원선순환체계 구축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 농업생산에서 발생된 부산물, 폐기물을 다시 생산에 활용하는 C2C(Cradle to Cradle)개념을 적용한 아그로파크 도입
- 오수, 빗물 등의 하수를 상업 및 업무용수나 공업용수 일부, 조경용수, 도시기능용수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



아그로파크(Agro Park)
-
Processing
- 식물생산단지
-
Production
- 최신 농업단지
- 온실시설
- 축산농장
- 버섯지배 시설
-
Trade
- 저온저장소, 숙성설비, 창고업
- 터미널마켓, 물류
- 복합상업단지
- 거래소&패키징
-
R&D
- 농업 비즈니스, 경영 교육기관
- R&D보육센터
- 컨벤션센터, IT/도서관, 교육센터
-
Social
- 유틸리티&서비스
- 농업관광, 건강&영양
- 사회 기반시설
스마트 워터 그리드

해양활력도시
해양자원과 수변공간을 활용한 활력 있는 도시 건설

1. 수변공간 및 친수공간에 다양한 수변활동 유도
- 수변공간에 업무·상업 등 도시 중심기능을 배치하여 이색적인 수변 도시경관 조성
- 수변공간을 따라 쇼핑․먹거리․엔터테인먼트 등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다양한 시설 및 콘텐츠를 배치함으로써 수변공간에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확대
-
수체계 구상 -
시드니 달링하버 수변공간 전경1 -
시드니 달링하버 수변공간 전경2
2. 다양한 해양자원을 활용한 해양관광 및 해양산업 등 적극 도입
- 물의 도시 새만금의 특성을 반영한 녹색대중교통 및 수상교통수단을 통해 친환경 수상교통망 체계를 도입하고,이를 관광자원 및 관광자원에 대한 연계수단 등으로 활용
- 새만금의 풍부한 해양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수질 및 생태환경에 부정적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해양관광 및 해양산업 등 도입

디자인도시
아름답고 개성 있는 디자인도시 건설

1. 국제협력의 이미지에 부합하는 차별적 경관조성
- 경제협력 거점별 특성이 부각될 수 있는 차별적 도시 경관 구현
- 시각적 개방성 확보를 위한 스카이라인 설정 및 건물을 배치하고, 특히 수변공간에 위치한 건축물들이 다양한 높이와 형태로 조성될 수 있도록 하여 활력 있는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도록 유도
- 경관가이드라인 적용 등을 통한 고품격의 도시 이미지 구현
-
경관권역 설정 예시 -
경관거점 설정 예시
2. 활력있고 편리한 인간중심의 도시공간 구현
- 보행권 및 대중교통 결절점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
-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적용하여 국적, 문화, 연령 및 장애여부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불편 없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
- 노약자와 장애인, 어린이와 여성이 모두 불편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보행자 중심의 무장애(barrier-free) 환경 구현

images ⓒ Applied Wayfinding 2014